제1차 아편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아편 전쟁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영국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영국은 청나라의 차, 비단, 도자기 수입에 따른 무역 적자를 아편 밀수를 통해 해결하려 했고, 청나라는 아편 수입을 금지하고 임칙서를 파견하여 단속을 강화했다. 이에 영국이 무력으로 대응하면서 전쟁이 발발했다. 영국은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승리하여 난징 조약을 체결, 홍콩을 할양받고 5개 항구를 개항하는 등 불평등 조약을 강요했다. 이 전쟁은 중국의 반식민지화와 민족주의 운동의 시작을 알렸으며, 동아시아 각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아편 전쟁 - 후먼 조약
후먼 조약은 1843년 청나라와 영국이 난징 조약 보완 및 무역 관계 규정을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5개 항구 개항, 영국 상인 내륙 진출 허용, 영사재판권과 최혜국 대우 인정 등을 포함하여 청나라 주권 침해와 불평등 조약 체제의 시작을 알린 대표적인 사례이다.
제1차 아편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이름 | 제1차 아편 전쟁 |
다른 이름 | 제1차 아편 전쟁 First Opium War First Anglo-Chinese War 鴉片戰爭 第一次鴉片戰爭 第一次阿片戰爭 |
일부 | 아편 전쟁 |
![]() | |
날짜 | 1839년 9월 4일 – 1842년 8월 29일 |
장소 | 중국 |
결과 | 영국 승리 난징 조약 체결 홍콩 섬이 영국에 할양됨 태평천국 운동 발발 과도한 세금으로 인한 농민 반란 중화사상 약화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청나라 |
교전국 2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동인도 회사 |
지휘관 | |
지휘관 1 | 도광제 임칙서 기선 이산 이징 이리부 관천배 진화성 가윤비 양방 기영 |
지휘관 2 | 빅토리아 여왕 윌리엄 램 로버트 필 헨리 존 템플 찰스 엘리엇 조지 엘리엇 고든 브레머 휴 고프 헨리 포틴저 윌리엄 파커 험프리 센하우스 앤서니 블랙스랜드 스트랜셤 |
병력 | |
병력 1 | 총 병력 222,212명 8기군: 16,708명 녹영군: 205,504명 실제 동원 병력 약 10만 명 군함 164척 |
병력 2 | 19,000명 이상 영국 육군: 5,000명 인도 육군: 5,000명 실론 경보병: 2,000명 영국 해병대: 7,069명 37척의 함선 슬루프: 14척 프리깃함: 8척 전열함: 3척 기타 선박: 12척 |
사상자 | |
사상자 1 | 전사 69명 부상 451명 포로 또는 사망 284명 (네르부다 호 사건) |
사상자 2 | 사망자: 3,100명 부상자: 4,000명 사망자에는 자푸 전투 및 진강 전투에서 집단 자살한 만주족 기병과 그 가족 포함. |
2. 배경
청나라는 1757년부터 광저우항에서만 유럽 국가들과 무역을 허용했으며, 공행(公行)이라는 베이징 정부의 특허를 받은 상인에게만 무역을 허가했다(광동 무역 체제).[270]
유럽 측에서는 영국 동인도 회사(イギリス東インド会社)가 중국 무역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관화인 위원회"라는 대표 기관을 설치했다.[270] 그러나 베이징 정부는 유럽과의 무역을 "조공(朝貢)"으로 인식하여 직접적인 무역 협상에는 응하지 않았다. 따라서 관화인 위원회는 공행을 통해 "빙(稟)"이라는 청원서를 광둥 지방 당국에 제출할 수 있을 뿐이었다.[270]
이러한 광동 무역 체제는 중국 시장 개척을 목표로 하는 영국에게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영국은 광동 무역 체제 폐지, 즉 베이징 정부의 무역 및 거주 제한과 조공 의식을 시정하여 자유 무역을 확립하고자 했다.[270]
영국 동인도 회사는 1773년에 벵골 아편의 전매권을 획득했고, 1797년에는 제조권까지 획득하여 중국에 대한 조직적인 아편 판매를 시작했다. 베이징 정부는 아편 무역을 금지했지만, 지방의 중국인(中国人) 아편 상인들이 관헌을 매수하여 단속을 피하면서 밀무역을 했기 때문에 아편 무역은 확대되었다. 1823년에는 아편이 인도 면화를 대신하여 중국 수출의 최대 상품이 되었고, 수입의 20%가 아편이었다.[270]
1834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대중국 무역 특허가 실효되면서 독점 체제가 종료되었다. 이후 영국 정부는 무역 감독관을 파견하여 자국 상인을 지도·감독하게 했다.[271][272][273] 초대 감독관으로 임명된 윌리엄 네이피어는 청나라 양광총독(両広総督)과 직접 접촉하려 했으나, 성급한 시도로 인해 분쟁과 무력 충돌을 일으키고 실패했다.[274][275]
2. 1. 청나라의 폐쇄적 무역
건륭제 시기부터 청나라는 광저우 한 항구만을 통해 서양과의 무역을 허용하는 제한적인 무역 정책을 유지했다.[22] 이는 '공행'이라는 특허 상인 집단을 통해서만 무역을 허용하는 '광동 체제'로 구체화되었다.[23] 이러한 폐쇄적인 무역 정책은 서양 국가, 특히 영국의 불만을 야기했다.청나라 초기에는 정성공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쇄국정책(해금)을 실시했다.[355] 1684년에 청나라는 대외 무역을 허용하고, 오문(澳門), 장주부, 영파부, 운대산에 해관을 설치하여 무역을 관리했다.[356]
그러나 건륭제 말기부터 청나라는 영국 동인도 회사와 무역을 하면서, 영국은 차, 도자기, 비단 등을 대량 수입하는 반면, 수출품은 시계, 망원경 등 일부 부유층 대상 물품에 그쳐 무역 적자가 심각했다.[359] 청나라 조정은 공행을 통해 관세를 부과하고 무역을 제한했다.[359]
1757년 이후 청나라는 광저우항에서만 유럽 국가들과 무역을 허용했고, 공행(公行)이라는 베이징 정부의 특허를 받은 상인에게만 무역을 허가했다. 유럽 측에서는 영국 동인도 회사가 중국 무역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관화인 위원회"라는 대표 기관을 설치했다. 그러나 베이징 정부는 유럽과의 무역을 "조공"으로 인식하여 직접적인 무역 협상에 응하지 않았다.
이러한 광동 무역 체제는 영국에게는 불만족스러웠다. 광동 무역 체제의 폐지, 즉 베이징 정부의 무역 및 거주 제한과 조공 의식을 시정함으로써 영국과 중국 간의 자유 무역을 확립하는 것이 과제가 되었다.
2. 2. 영국의 대중국 무역 적자와 아편 밀수
건륭제 말기부터 관리들의 부정부패로 쇠퇴하기 시작한 청나라는 1780년대부터 영국 동인도 회사와 무역을 하게 된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광둥 무역에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여 중국으로부터 차, 도자기, 목면 등을 수입하고 영국의 모직물, 면직물 등을 수출했다. 당시 영국에서는 차를 마시는 풍습이 상류층 사이에 퍼져 차, 도자기, 비단을 대량으로 청나라로부터 수입하고 있었다. 한편, 영국에서 청나라로 수출되는 것은 시계, 망원경과 같은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물품은 있었으나, 대량으로 수출 가능한 제품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영국의 대폭적인 수입 초과였다.[359] 영국은 미국 독립 전쟁의 전비 조달과 산업혁명에 의한 자본 축적으로 인해, 은(銀)의 국외 유출을 억제하는 정책을 취했다. 그런데, 청나라 조정에서는 공행(서양 물품을 취급하는 양행 상인들의 조직) 관세를 자의적으로 부과하였고 외국 상인의 무역을 제한했다. 광동 체제를 타파하고 무역을 확대하기 위한 교섭에 실패한 영국 상인들이 이때 생각해낸 무역 적자 해소 방법이 아편 무역이었다.은의 유출을 막기 위해 영국은 식민지 인도에서 재배한 아편을 청나라에 밀수출하여 무역 적자를 상쇄하고, 삼각무역을 정립하게 되었다. 영국 상인들은 육체 노동으로 지친 중국의 하층민들을 대상으로 아편 장사를 했고, 아편은 19세기 중국의 히트 상품이 되었다. 청나라에서는 이미 1796년 (가경제 원년)에 아편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었다. 금지령은 19세기에 들어서서도 여러 번 발령되었으나, 아편 밀수입은 그치지 않고, 또한 국내산 아편 단속도 효과가 없었으며, 청나라에서 아편 흡입의 악폐가 널리 퍼져, 건강을 해치는 자가 많아지고, 풍기도 퇴폐스러워졌다. 모든 계층에 퍼져 나간 아편 흡입 풍조로 청나라에서는 부패와 전투 능력 상실, 국가 기강 해이, 농촌 경제 파탄, 재정 타격 같은 폐단이 날이 갈수록 커져만 갔다.
아편이 중국에 정식으로 수입되기 전에는 주로 밀수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분명한 통계를 밝히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략 다음과 같이 증가했다.
연도 | 수량(상자) |
---|---|
1800년경 | 4,570 |
1817년 | 12,375 |
1826년 | 19,386 |
1830년대 | 매년 33,906 |
1837년 | 44,637 |
1839년 | 50,350 |
아편의 수입 대금을 은으로 결제하였으므로 이 동안 중국에 수입된 아편으로 유출된 은의 양은 대략 6억 냥 정도로 추정한다. 아편의 수입량 증가로 인하여 무역 수지는 역전되고, 청나라의 은 보유고가 격감하여 은과 동전의 교환 비율이 1:800에서 1:1,500~2,100에 이를 정도로 은값의 급등을 불러일으켰다. 이 같은 은의 유출은 지정은제를 위협했다. 결국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었다.
2. 3. 청나라의 아편 금지 정책과 임칙서
1838년, 청나라의 도광제는 아편 문제 해결을 위해 임칙서를 흠차대신으로 임명하여 광저우로 파견했다.[288][289] 당시 영국 상인들은 아편 밀수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었고, 이로 인해 청나라 내 아편 중독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었다.[78]임칙서는 아편 밀수를 근절하기 위해 강력한 정책을 시행했다. 1839년, 광저우의 외국 상인들에게 앞으로 아편을 청나라에 반입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제출하고, 보유한 아편을 모두 내놓으라고 요구했다.[290][291] 또한, 이를 어길 시 사형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290][291]
영국 상인들과 무역 감독관 찰스 엘리엇은 이러한 요구를 무시했지만, 임칙서는 굴하지 않고 영국 상관을 포위하여 아편을 몰수했다.[292][293] 몰수한 아편은 소금과 석회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무해화한 후 바다에 버리는 방식으로 폐기했다.[296][295] 이때 처리된 아편의 양은 1400ton이 넘었다.[297]
임칙서는 외국 상인들의 교역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302][303] 그의 목표는 아편 밀수를 막고, 외국 상인들이 합법적인 상업 활동에 전념하도록 하는 것이었다.[302][303]
3. 전개
1836년, 청나라 정부 내에서 아편 금지론이 강해지자, 영국 외무장관 팔머스턴 자작은 현지 영국인 보호를 위해 외교관 찰스 엘리엇을 청나라 무역 감독관으로 광동에 파견했다.[306] 팔머스턴 자작은 해군성에 지시하여 엘리엇을 지원했지만, 이 단계에서는 직접적인 무력 압력은 금지했다.[306]
1839년 3월, 린쩌슈가 광동에 부임하여 아편 단속을 시작하자, 엘리엇은 영국 상인이 소지한 아편의 인도 요구에는 응했지만, 서약서 제출은 거부하고 5월 24일 광동에 거주하는 모든 영국인을 데리고 마카오로 퇴거했다.[307] 린쩌슈는 압박을 더욱 강화하였고, 구룡반도에서 발생한 영국 선원에 의한 현지 주민 살해 사건의 수사를 엘리엇이 거부하자, 8월 15일 서약서를 제출하지 않는 마카오 거주 영국인에 대한 식량 공급을 금지했다.[308][309] 엘리엇은 여전히 아편 금지 서약에 응하지 않았고, 8월 26일 마카오도 포기하고 배로 피신하게 되었다.[308][310]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영국 상인은 광저우와의 직접 무역이 완전히 끊기고, 미국 상인을 거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매우 고액의 중계 운임 부담 등의 불이익을 받게 되었다.[302][311] 이후, 동인도 함대의 프리깃함 2척이 도착했고, 엘리엇은 이를 이용하여 9월 4일 구룡 해상에서 청나라 병선에 포격을 가했지만, 청나라 측은 아편 금지 서약을 요구하는 방침을 바꾸지 않았다.[313] 10월 초경까지 청나라 측은 식량 공급 금지 등을 해제하고, 영국인은 마카오로 복귀했다.[314][315] 그러나, 엘리엇은 모든 자국 상인에게 청나라 당국에 아편 금지 서약서 제출을 계속 금지했고, 영국 상인 중에서도 아편과 관계가 없는 자에게는 엘리엇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있었다.[302][317]
10월에 들어서, 일부 영국 상선은 엘리엇의 말을 따르지 않고 청나라 당국에 서약서를 제출하고 광저우 입항을 완료했다.[318][319] 청나라 측은 영국 측을 아편 금지 서약에 더욱 움직이도록, 미서약자에게 해금한 식량 공급 등을 다시 금지하고, 엘리엇에게 서약서 제출 압력을 강화했다.[318][319]
3. 1. 주룽 사건과 무력 충돌
1839년 음력 4월, 청군이 아편 상자를 압수한 이후 영국에서 원정군을 파견할 무렵인 6월 말, 청나라 주룽(九龍)에서 술에 취한 영국인 선원들과 청나라 주민이 충돌하여 청나라 주민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영국 측은 범인 인도를 거부했고, 임칙서는 마카오를 봉쇄했다. 이 사건은 《주룽 사건》(''Kowloon incident'')으로 불리며, 양국 간 무장 충돌을 일으켰다.[89][90][91][92][93][94][95][96]
1839년 7월 초, 구룡에 정박 중이던 영국 상선 선원들이 술에 취해 인근 침사추이(Tsim Sha Tsui) 마을 주민 임위희(Lin Weixi)를 폭행하여 사망하게 했다. 영국 무역 감독관 엘리엇(Elliot)은 가해 선원들을 체포하고 임위희의 가족과 마을에 보상금을 지불하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중국 법에 따라 선원들이 처형될 것을 우려하여 중국 당국에 신병 인도를 거부했다. 임칙서는 이를 사법 방해이자 중국 주권 침해로 간주하고 선원 인도를 요구했다. 엘리엇은 군함에서 자체 재판을 열어 선원들에게 벌금형과 강제 노역형을 선고했으나, 이 판결은 영국 법정에서 번복되었다.
이에 임칙서는 마카오의 중국인 노동자들을 철수시키고 영국에 대한 식량 판매를 금지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청나라 전함들이 주강 어귀에 배치되었고, 영국 상선의 식수원에 독이 풀렸다는 소문이 퍼졌다. 8월 23일, 아편 상인의 배가 해적 공격을 받자, 영국인들은 중국군 소행이라는 소문을 퍼뜨렸다. 엘리엇은 8월 24일 모든 영국 선박에 중국 해안 철수를 명령했고, 마카오는 임칙서의 요청으로 영국 선박 입항을 금지했다. 8월 말, 60척 이상의 영국 선박과 2,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식량 부족 상태로 중국 해안에 발이 묶였다. 8월 30일, HMS 볼라지(HMS ''Volage'')호가 도착하자 엘리엇은 구룡의 청나라 당국에 식량 및 물 금수 조치 해제를 경고했다.[97][146]
9월 4일, 엘리엇은 무장 선박을 구룡에 보내 식량 구입을 시도했다. 영국 선박들은 중국 전함 3척에 접근하여 상륙 허가를 요청했고, 중국 선원들은 영국인들에게 생필품을 제공했다. 그러나 구룡 요새 지휘관은 주민들의 영국인과의 거래를 금지하고 마을 사람들을 요새 안에 가두었다. 오후에 엘리엇은 최후통첩을 보냈고, 마감 시간이 지나자 영국 함선은 중국 함선에 포격을 가했다. 중국 함선도 반격했고, 육지 포병대도 영국 함선을 공격했다. 밤이 되면서 전투는 종료되었고, 구룡 전투(Battle of Kowloon)로 알려지게 되었다. 엘리엇은 요새 공격을 반대하며, 주민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소규모 충돌 후, 엘리엇은 구룡에 "영국인들은 평화를 원하지만, 독살되거나 굶주릴 수는 없다"는 내용의 문서를 배포했다.[98]
이후 영국 함대는 구룡의 부패한 관리들의 도움을 받아 주민들로부터 식량을 구입했다.[100] 구룡 지휘관 라이언쥐에(Lai Enjue)는 영국에 대한 승리를 보고했으나, 이는 과장된 것이었다.[101][102]
1839년 11월 3일, 영국 원정군이 마카오에 도착하면서 무력 충돌이 시작되었다. 임칙서의 무역 거부 응답을 구실로 영국은 전쟁을 시작하고 청나라 함대를 궤멸시켰다. 1840년 6월에 전쟁은 본격화되었다.
3. 2. 영국의 군사적 우위와 청나라의 패배
1839년 11월 3일 파견된 영국 원정군이 마카오에 도착하면서 무장 충돌이 시작되었다. 임칙서의 무역 거부 응답을 구실로 영국은 전쟁을 시작하고, 청국 함대를 궤멸시켰다. 1840년 6월에 전쟁이 본격화되었다.[327]영국군의 군사적 우세는 전쟁 기간 내내 왕립 해군의 힘에 크게 의존했다.[189] 영국 군함은 중국군보다 더 많은 대포를 탑재했고, 중국군의 접근을 피할 수 있을 만큼 기동성이 뛰어났다. 《네메시스(Nemesis)》와 같은 증기선은 중국 강에서 바람과 조류에 대항하여 항해할 수 있었고, 대형 대포와 콩그리브 로켓을 장착했다.[189] 중국에 있던 영국 대형 군함들(특히 3등함인 HMS 《콘월리스(Cornwallis)》, HMS 《웰즐리(Wellesley)》, HMS 《멜빌(Melville)》) 중 몇 척은 중국 전선 전체보다 더 많은 대포를 탑재했다.[174] 영국 해군의 우세 덕분에 왕립 해군은 영국 해군 대포의 사정거리가 청나라 포병의 대다수보다 훨씬 길었기 때문에, 거의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중국 요새를 공격할 수 있었다.[174]
1840년 11월 청군은 영국군에 대패하였고, 영국군은 다구 지역까지 북상하여 직예 지역 총독 기선과 협상하였고, 다시 남하해 촨비 지역에서 조약 체결을 강요하며 홍콩을 강점했다. 궁지에 몰린 청나라 조정에서는 임칙서를 면직시키고 협상을 기선에게 맡겼지만, 홍콩 할양을 받아들일 수는 없었다. 조약 비준을 준수하지도 않고, 영국군이 홍콩을 '영국 영토'라고 선포하자, 청나라 조정에서는 기선을 파직시키고 험형에 처하였고 다시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1841년 1월 7일 후먼 전투에서 관천배가 분전하였지만, 영국이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그해 5월, 광저우에 상륙한 영국군은 약탈과 폭행 사건을 일으켜 민중들의 분노를 샀다. 민중들이 봉기하여 영국군을 막아섰고 영국군은 전멸 위기에 처하지만, 청나라 정부에 포위 해제를 요구해 탈출에 성공하게 되는 삼원리 사건이 발생하게 된다.
청나라는 통합된 해군을 갖추지 못하고 각 성이 해상 방어를 담당하도록 허용했다.[198] 초기에는 인접 해역의 해상 방어에 투자했지만, 1799년 건륭제 사후 묘족의 난과 백련교의 난 진압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면서 해군은 쇠퇴했다. 이러한 분쟁으로 청나라 국고는 파산 직전에 이르렀다. 남은 해군은 심각하게 과부하가 걸리고 인력과 자금이 부족했으며, 조직력도 부족했다.[199]
전쟁 초기부터 중국 해군은 심각하게 불리했다. 중국 전함인 전선은 해적이나 유사한 유형의 선박에 대항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근거리 강 상에서의 교전에 더 효과적이었다. 배의 속도가 느렸기 때문에 청나라 함장들은 훨씬 기동성이 뛰어난 영국 함선을 향해 항해하는 상황에 끊임없이 처했고, 그 결과 중국은 함포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200] 영국 함선의 크기 때문에 기존의 접근 전술은 무용지물이었고, 전선은 열세인 무기를 소량 탑재하고 있었다.[168] 게다가 중국 함선은 장갑이 부실하여 여러 전투에서 영국 포탄과 로켓이 중국 탄약고에 침투하여 화약고를 폭발시켰다. HMS ''네메시스''와 같은 기동성이 뛰어난 증기선은 전선으로 구성된 소규모 함대를 궤멸시킬 수 있었는데, 전선은 더 빠른 영국 증기선을 따라잡고 공격할 기회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174] 청나라 해군에서 유일한 서구식 군함인 개조된 동인도회사 선박 ''캠브리지''는 제1차 바 전투에서 격침되었다.[201]
이 전쟁의 방어적인 성격으로 인해 중국은 광범위한 요새 네트워크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강희제(1654~1722)는 해적과 싸우기 위해 하천 방어 시설 건설을 시작했고 서구식 대포의 사용을 장려했다. 아편전쟁 당시 대부분의 주요 중국 도시와 수로는 여러 요새로 방어되었다. 요새들은 잘 무장되어 있고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었지만, 청나라의 패배는 그 설계에 심각한 결함이 있음을 드러냈다. 청나라 방어 요새에 사용된 대포는 중국,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산 대포가 혼합되어 있었다.[203] 국산 중국 대포는 열악한 단조 방법으로 제작되어 전투 효율성이 제한되고 포신 마모가 심했다.
전쟁 초기 청나라 군대는 20만 명 이상의 병사로 구성되었으며, 약 8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할 수 있었다. 이 병력은 만주 깃발군, 녹영, 성(省) 민병대, 황실 수비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청나라 군대는 사거리가 100미터인 조총과 산탄총으로 무장했다.[190] 중국 역사가 유(Liu)와 장(Zhang)은 중국 군인들이 "전통 무기로 60~70%를 장비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장창, 옆칼, 활과 화살, 등나무 방패였고, 나머지 30~40%는 화약 무기였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조총, 중총, 대포, 화살, 지진탄 등이었다"고 지적했다.[209] 중국 군인들은 또한 곤봉, 창, 검, 석궁으로 무장했다. 청나라는 또한 전투에 대규모 포병대를 배치했다.[210]
아편전쟁 당시 이러한 전술은 영국 화력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중국 근접 전투 대형은 포격에 의해 궤멸되었고, 조총으로 무장한 중국 군인들은 사거리가 훨씬 긴 영국 대열과 효과적으로 교전할 수 없었다.[214][166] 이 전쟁의 대부분의 전투는 도시나 절벽, 강둑에서 벌어져 청나라의 기병 활용이 제한되었다. 많은 청나라 대포가 영국군의 반격 포격에 의해 파괴되었고, 영국 경보병 중대는 끊임없이 중국군 포병대의 측면을 돌파하여 점령했다.[206]
3. 3. 주요 전투
1839년 11월 3일 파견된 영국 원정군이 마카오에 도착하면서 무장 충돌이 시작되었다. 1840년 6월에 전쟁이 본격화되었다.- '''주산 점령''' (1840년 7월): 1840년 6월 말, 영국 원정군이 중국에 도착했다. 영국은 청나라에 무역 중단과 아편 파괴에 대한 보상을 요구했지만, 광저우(광주)의 청 당국은 이를 거부했다. 영국 원정군은 주산 군도에 대한 해군과 지상군 합동 공격을 시작, 7월 5일 해상 포격 후 도시를 점령했다.[124] 딩하이 항구를 점령하고 중국 작전의 중간 기착지로 사용했다.
- '''전피 해전(Second Battle of Chuenpi)''' (1841년 1월): 영국은 전피 해전(Second Battle of Chuenpi)에서 승리하여 호문 요새를 점령,[132] 보그(The Bogue)를 봉쇄했다.
- '''광저우 전투''' (1841년 5월): 5월 21일 밤, 청은 영국군과 해군에 대한 조직적인 야간 공격을 개시,[132] 광주와 주강의 포병 포대가 발포, 청군이 영국 공장을 탈환했다. 영국군은 반격하여 광주 상류의 마지막 4개 청 요새를 점령하고 도시에 포격을 가했다.[132] 5월 30일 전투가 끝나고, 광주는 완전히 영국에 점령되었다.
- '''아모이 전투''' (1841년 8월): 8월 25일 영국 함대는 구룡강(Jiulong River) 하구에 진입하여 아모이에 도착했다. 8월 26일 영국 해병대와 정규 보병은 해군 지원 사격 아래 중국군 방어선을 측면 공격하여 파괴, 영국 보병에 의해 함락되었다. 아모이 시는 8월 27일 버려졌고, 영국군은 내부 도시에 진입하여 성채의 화약고를 폭파했다.[156]
- '''주산 재점령''' (1841년 10월): 영국은 10월 1일 청을 공격, 주산 재점령 전투가 벌어졌다. 영국군은 1500명의 청 병사를 사살하고 주산을 점령했다.
- '''진해 전투''' (1841년 10월): 10월 10일, 영국 해군은 중국 중부 닝보 외곽의 요새를 포격하여 점령했다.
- '''닝포 전투''' (1842년 3월): 3월 10일 닝포 전투에서 영국 주둔군은 소총 사격과 해군 포격으로 공격을 격퇴했다.
- '''자키 전투''' (1842년 3월): 영국군은 후퇴하는 중국군을 추격, 3월 15일 치시를 점령했다.[171]
- '''차푸 전투''' (1842년 5월): 자푸 항구는 5월 18일 차푸 전투에서 함락되었다.[5]
- '''우송 전투''' (1842년 6월): 6월 14일, 영국 함대가 황푸강(Huangpu River) 하구를 점령했다. 6월 16일 우송 전투(Battle of Woosung)로 우송구(Wusong District, Wusong)와 상하이 바오산구(Baoshan District, Shanghai, Baoshan)를 점령했다. 6월 19일, 방어가 허술했던 상하이(Shanghai) 외곽이 영국군에 점령당했다.[176]
- '''진강 전투''' (1842년 7월): 7월 21일 진강 전투(Battle of Chinkiang)가 벌어졌다. 영국 공병들은 서쪽 문을 폭파하고 도시로 진입,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5] 영국군은 이 도시를 함락하는 과정에서 전쟁 중 최대 전투 손실(사망 36명)을 입었다.[177]



4. 결과
1842년 8월 29일 영국군은 광저우를 포위하여 조약을 맺고 전쟁을 종결시켰다. 영국은 배상금 600만 달러를 받고 철수했지만, 새로운 전권 대표가 도착하면서 장강 요충지를 차례로 함락시켜 청나라가 난징 조약을 체결하도록 강요했다.
난징 조약 체결 이후, 청나라는 후먼 조약을 통해 치외법권, 관세 자주권 포기, 최혜국 대우 조항 승인 등 굴욕적인 조약을 강요받았다. 1844년에는 미국과 왕샤 조약을, 프랑스와 황푸 조약을 체결하여 불평등 조약 체제가 더욱 심화되었다.
영국이 전쟁을 일으킨 목적은 동아시아에서 중국 중심의 조공 체제를 타파하고, 엄격한 무역 제한을 폐지하여 자국 상품을 더 많이 팔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청나라와 영국 간의 외교 체제에는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경제적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다. 중국산 면제품이 영국 제품의 수입을 저해했기 때문이다. 영국은 다음 기회를 노리게 되었고, 이는 아로우 전쟁(제2차 아편 전쟁)으로 이어졌다.
난징 조약에는 아편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종전 후에도 아편 유입과 은 유출은 멈추지 않았다. 청나라 정부는 북서부와 남서부에서 양귀비 재배와 아편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쳤다. 국내 아편 생산 증가로 은 유출은 다소 개선되었지만, 국내 아편 사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큰 폐해를 초래했다.
4. 1. 난징 조약과 불평등 조약 체제
1842년 난징 조약 체결로 영국은 배상금, 홍콩섬 할양, 광둥 이외의 5개 항구(홍콩, 샤먼, 푸저우, 닝보, 상하이) 개항, 청나라의 수출입 관세에 대한 협의권을 얻어냈다.[187][188] 이듬해 후먼 조약으로 청나라는 치외법권, 관세 자주권 포기, 최혜국 대우 조항 승인 등 굴욕적인 강요를 받게 되었다.[217]
1842년 8월 29일, 양국은 난징 조약에 조인하여 아편전쟁(제1차 아편전쟁)은 종결되었다. 난징 조약에서는 공행제도(일부 무역상에 의한 독점 무역)를 폐지하고 자유무역제로 개정하여, 종전의 3개 항구(광저우, 샤먼, 닝보)에 푸저우, 상하이를 더한 5개 항구를 자유무역항으로 정했다. 덧붙여 본 조약에서는 영국에 대한 배상금 지불 및 홍콩(홍콩섬)의 할양이 정해졌다.[185][186]
이후 청나라는 1844년 7월 3일 미국과 왕샤 조약을, 10월 24일 프랑스와 황푸 조약을 체결하여, 이들 국가에도 최혜국 대우와 영사재판권을 인정하는 등 불평등 조약 체제에 편입되었다.[217]
4. 2. 아편 무역의 지속과 청나라의 쇠퇴
건륭제 말기부터 관리들의 부정부패로 쇠퇴하기 시작한 청나라는 1780년대부터 영국 동인도 회사와 무역을 하게 되었다.[359] 영국은 미국 독립 전쟁의 전비 조달과 산업혁명에 의한 자본 축적으로 인해, 은(銀)의 국외 유출을 억제하는 정책을 취했다. 당시 청나라 조정은 광동 체제를 통해 무역을 제한했고, 이를 타파하고 무역을 확대하려던 영국 상인들은 아편 무역을 통해 무역 적자를 해소하려 했다.영국은 식민지 인도에서 재배한 아편을 청나라에 밀수출하여 무역 적자를 상쇄했다. 청나라에서는 이미 1796년(가경제 원년)에 아편 수입을 금지했지만, 아편 밀수입은 그치지 않았고, 아편 흡입의 악폐가 널리 퍼져 청나라 사회는 혼란스러워졌다.[278] 아편 흡입은 모든 계층에 퍼져나가 부패, 전투 능력 상실, 국가 기강 해이, 농촌 경제 파탄, 재정 타격 같은 폐단을 야기했다.[278]
아편의 수입 대금은 은으로 결제되었으므로, 아편 수입량 증가로 무역 수지가 역전되고, 청나라의 은 보유고가 격감하여 은값의 급등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지정은제를 위협하고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1842년 8월 29일 체결된 난징 조약에는 아편 무역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종전 후에도 아편 유입과 은 유출은 멈추지 않았다.[345] 청나라 정부는 국내 아편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쳤지만, 이는 국내 아편 사용자 증가라는 폐해를 초래했다.[345]
아편 수입량은 1800년~1801년 약 4,500상자(한 상자 약 60kg)에서 1830년~1831년에는 2만 상자, 아편전쟁 직전인 1838년~1839년에는 약 4만 상자에 달했다. 이 때문에 1830년대 말에는 아편 값으로 청나라 국가 세수의 80%에 해당하는 은이 해외로 유출되어 은화의 급등을 초래했다. 당시 청나라는 은본위제였으며, 은화와 동전이 병용되었고, 그 교환 비율은 시세에 따라 변동되었다. 건륭제 시대에는 은 1량(약 37g)은 동전 700~800문과 교환되었지만, 1830년에는 1,200문이 되었고 30년대 말에는 최대 2,000문에 달했다. 지정은(地丁銀)의 세액은 은 몇 량으로 지정되었지만, 농민이 실제로 받는 것은 동전이었고, 납세 시에는 동전을 은으로 환산해야 했다. 즉, 은화가 두 배로 급등하는 것은 납세액이 두 배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했다.
5. 영향
아편 전쟁은 단순히 청나라와 영국 간의 전쟁을 넘어, 동아시아 전체, 특히 한국에도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청나라는 아편 전쟁에서 패배했지만, 전쟁의 충격은 베이징에서 멀리 떨어진 광둥 지역에 국한되었다. 청나라는 여전히 중화사상을 버리지 않고 영국을 "영이(英夷)"라 칭하며 기존의 세계관을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일부 지식인들은 영국의 힘이 이전의 "이적(夷狄)"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식했다. 임칙서와 친분이 있던 위원은 임칙서가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국도지(海国图志)』를 저술했다.[347][348] 그는 이 책에서 "이(夷)의 장기를 배우고 이로써 이를 제압한다(夷の長技を師とし以て夷を制す)"라는 유명한 구절을 통해 서구 열강의 기술과 사상을 받아들여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책은 동아시아 최초의 본격적인 세계 소개서였지만, 정부 주도의 체계적인 사업이 아니었기 때문에 중국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이후 청나라에서는 태평천국(太平天国)의 난 등이 발생하고, 1860년대부터는 양무운동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했다.
아편 전쟁의 영향은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도 이어지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1kg 이상의 아편을 밀수, 판매, 운반, 제조하면 15년 이상의 징역, 무기징역 또는 사형에 처해지고 재산을 몰수당한다. 한국의 중앙일보는 이를 "아편전쟁 트라우마 때문"이라고 지적한다.[349] 천안문 광장의 인민영웅기념비에는 아편전쟁의 굴욕에서 중국 공산당에 의한 대륙 정복까지의 역사가 새겨져 있다.
한편, 아편 전쟁 당시 글래드스톤은 의회 의원으로서 아편 무역을 "극악무도하고 끔찍한" 것이라고 비난했다.[220][221] 그는 제1차 아편 전쟁과 제2차 아편 전쟁 모두에 격렬하게 반대하며 영국의 대중국 정책을 비판했다.[222]
5. 1. 동아시아의 개항과 근대화
청나라의 패전 소식은 나가사키에 입항해 있던 네덜란드(オランダ)와 청나라 상선 선원들을 통해 막말 일본에도 전해졌다. 서구 열강의 군사력이 동양에 비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는 사실이 명백해짐에 따라, 일본은 큰 충격을 받았다.[350] 강국이었던 청나라의 패배는 동아시아로의 진출을 꾀하던 서구 열강에게 좋은 명분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일본이 신속한 국체 개혁이 시급함을 깨닫게 했다. 중국 내에서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위원의 『해국도지』[351]도 곧 일본에 전해져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사쿠마 쇼잔(佐久間象山) 등 막말의 중요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개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데 일조했다. 임칙서(林則徐)가 서구 열강에 대해 가졌던 우려는 중국이 아닌 일본에서 활용된 셈이다. 덴포(天保) 14년(1843년)에는 쇼헤이자카 학문소(昌平坂学問所)에 있던 사이토 치쿠도(斎藤竹堂)가 『아편시말(鴉片始末)』[352]이라는 소책자를 저술하여 청나라의 허술함과 서구 열강의 군사력의 위험성을 경고했다.이국선타불령(異国船打払令)을 발동하는 등 강경한 대외 정책을 펼쳤던 에도 막부(江戸幕府)도 이 전쟁 결과에 경악했다. 같은 시기에 일본인(日本人) 표류민을 돌려보낸 배를 쫓아내는 모리슨호 사건(モリソン号事件)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덴포(天保) 13년(1842년)에는 정책을 전환하여 외국 배에 땔나무와 물을 제공하는 신수급여령(薪水給与令)을 새롭게 발표하는 등 유럽 열강에 대한 태도를 완화했다.[350] 이 막부의 대외적 완화는 결국 개항의 중요한 요인이 되어, 페리 내항, 메이지유신을 거쳐 일본의 근대화로 이어졌다.[353]
5. 2. 중국의 반식민지화와 민족주의 운동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는 서구 열강의 침략에 시달리며 반식민지 상태로 전락했다. 난징 조약은 중국 최초의 불평등 조약으로, 홍콩 할양, 광저우, 하문, 푸저우, 닝보, 상하이 등 5개 항구 개항, 치외법권 인정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187][188] 이는 중국의 전통적인 대외 관계 및 무역 방식을 약화시켰다.[82]전쟁의 패배와 불평등 조약 체결은 중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중국 지식인들은 서구 열강의 힘을 인식했고, 위원은 임칙서의 자료를 바탕으로 『해국도지(海国图志)』를 저술하여 "이(夷)의 장기를 배우고 이로써 이를 제압한다(夷の長技を師とし以て夷を制す)"라는 주장을 펼쳤다.[347][348] 이는 서구의 기술과 사상을 받아들여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후 중국 근대화 운동의 방향을 제시했다.
아편 전쟁의 결과, 태평천국 운동과 같은 반청(反淸) 운동이 격화되었고, 1860년대부터는 양무운동이 추진되었다. 또한, 아편 전쟁은 "굴욕의 세기"의 시작으로 인식되어, 20세기 중국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229]
5. 3. 한국에 대한 영향
아편 전쟁의 패전 소식은 나가사키를 통해 막말 일본에도 전해졌다. 서구 열강의 군사력이 동양에 비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는 사실은 일본에 큰 충격을 주었다.[350] 강대국이었던 청나라의 패배는 서구 열강이 동아시아로 진출할 것이라는 위기감을 불러일으켰고, 일본은 신속한 국체 개혁의 필요성을 깨달았다.중국에서는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던 위원의 『해국도지』[351]는 곧 일본에 전해져 요시다 쇼인, 사쿠마 쇼잔 등 막말의 중요 인물들에게 영향을 주며 개혁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임칙서가 서구 열강에 대해 가졌던 우려는 중국이 아닌 일본에서 활용된 것이다.
덴포 14년(1843년)에는 쇼헤이자카 학문소의 사이토 치쿠도가 『아편시말』[352]이라는 소책자를 저술하여 청나라의 허술함과 서구 열강 군사력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그동안 이국선타불령을 발동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던 에도 막부도 전쟁 결과에 경악했다. 덴포 13년(1842년)에는 모리슨호 사건을 계기로 정책을 전환하여 외국 배에 땔감과 물을 제공하는 신수급여령을 발표하는 등 유럽 열강에 대한 태도를 완화했다.[350] 이러한 막부의 대외적 완화는 결국 개항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고, 페리 내항과 메이지 유신을 거쳐 일본의 근대화로 이어졌다.[353]
6. 역사적 평가와 논쟁
제1차 아편 전쟁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다양한 관점에서 논쟁이 진행 중이다.
영국은 주강 삼각주(Pearl River Delta)의 전략적 가치를 알고 있었고, 해상 우세로 인해 이 지역을 재탈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한 기선(Qishan)은 영국과 평화 조약을 협상하여 전쟁의 확대를 막으려 했다.[133] 1841년 1월 21일, 기선과 엘리엇은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천피 조약(Convention of Chuenpi)을 작성했다.[133][134] 이 조약은 영국과 중국 간의 동등한 외교적 권리를 확립하고, 홍콩섬(Hong Kong Island)을 주산(Zhoushan)과 교환하며, 중국이 구금한 난파된 영국 시민과 납치된 영국 시민의 석방을 촉진하고, 1841년 2월 1일까지 광주에서의 무역을 재개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34] 중국은 또한 1838년 호문에서 파괴된 아편에 대한 보상으로 600만달러를 지불하기로 했다. 그러나 아편 무역의 법적 지위는 해결되지 않고 미래에 논의될 문제로 남겨졌다.
기선과 엘리엇 간의 협상이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정부 모두 조약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 도광제(Daoguang Emperor)는 그의 허락 없이 체결된 조약에 청나라 영토가 할양되는 것에 격분하여 기선을 체포하도록 명령했고(나중에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이후 군 복무로 감형됨), 팔머스턴 경은 엘리엇을 그의 직책에서 해임하고, 원래 지시대로 중국으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얻어내고자 조약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243][128]
4월 중순, 이산(기선을 대신하여 량광 총독(Viceroy of Liangguang)이 된 도광제의 사촌)이 광주에 도착했다. 그는 무역이 계속 개방되어야 한다고 선언하고, 엘리엇에게 사절을 보내고, 광주 외곽에서 군사 자산을 모으기 시작했다. 도시 밖에 진을 친 청나라 군대는 곧 5만 명에 달했고, 재개된 무역으로 번 돈은 광주의 방어 시설을 수리하고 확장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강을 따라 은폐된 포병 포대가 건설되었고, 중국군이 황포와 보그에 배치되었고, 수백 척의 소형 강선이 무장되었다. 도광제가 보낸 게시물은 청나라 군대에 "모든 지점에서 반란군을 멸망시키라"고 명령했고, 홍콩을 탈환하고 침략자들을 중국에서 몰아내기 전에 영국군을 주강에서 몰아내라는 명령이 내려졌다.[144]
이 명령은 유출되어 광주 외국 상인들 사이에 널리 퍼졌고, 청나라 군사력 증강에 대해 알게 된 후 중국의 의도를 의심했다. 5월에 많은 ''고홍(Cohong)'' 상인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도시를 떠나면서 적대 행위가 재개될 것이라는 우려가 더욱 커졌다. 중국 잠수부들이 영국 함선의 선체에 구멍을 뚫는 훈련을 받고 있다는 소문과 영국 해군에 대항하여 화선 함대가 배치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145]
광주의 방어는 이산에 의해 외교적 성공으로 선포되었다. 황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오랑캐들이 "주요 장군에게 그들이 대 황제께 간청하여 그들을 불쌍히 여기고 그들의 빚을 갚아주고 관대하게 그들이 상거래를 계속하도록 허락해달라고 간청했고, 그러면 그들은 즉시 보그에서 배를 철수하고 감히 다시는 소란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썼다.[150] 그러나 양방(Yang Fang) 장군은 영국에 강력히 저항하는 대신 휴전에 동의한 것에 대해 황제로부터 질책을 받았다.[151] 황제는 영국 원정대가 패배하지 않았고 매우 온전하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도광제가 홍콩 탈환을 원했기 때문에 황실은 전쟁에 대한 중국의 다음 조치에 대해 계속 논의했다.[152]
8월 14일, 만주 고위 관료 기영과 립푸가 이끄는 중국 대표단이 남경에서 영국 함대를 향해 출발했다. 영국 대표단이 도광제가 조약을 수락할 것을 고집함에 따라 협상은 수주간 지속되었다. 조정은 황제에게 조약을 수락하도록 권고했고, 8월 21일 도광제는 외교관들에게 영국과 평화 조약에 서명할 것을 승인했다.[185][186] 제1차 아편전쟁은 1842년 8월 29일 남경조약의 체결로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187] 이 문서는 영국과 청 제국의 관리들이 HMS 콘월리스호 선상에서 서명했다.[188]
6. 1. 아편 전쟁의 성격 논쟁
아편 전쟁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은 다양한 역사적 관점에서 비롯된다.19세기 초, 영국은 중상주의에 대한 믿음이 약해지면서 자유 무역 사상을 추구했다.[53]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영국은 해군력을 이용하여 개방된 시장과 자유주의적 경제 모델을 확산시키려 했다.[53] 이는 애덤 스미스의 고전 경제학에 기반한 정책이었다.[53] 반면, 청나라는 유교적 경제 철학을 바탕으로 사회 안정을 위해 산업에 대한 정부의 엄격한 개입을 유지했다.[25]
이러한 경제적 입장 차이와 더불어, 영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심각한 적자를 겪고 있었다. 중국 상품에 대한 수요는 높았지만, 중국은 영국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 은의 유출이 심화되었다.[63]
이러한 상황에서, 서구 국가들은 중국에 추가적인 무역권을 요구하기 시작했다.[60] 특히 영국은 중국 시장 개방을 강력히 원했고, 여러 차례 사절단을 파견했지만 모두 청나라 황제에 의해 거부되었다.[29]
일부 역사가들은 영국 외무장관 팔머스턴 경이 자유 무역 원칙을 유지하기 위해 아편 전쟁을 시작했다고 주장한다.[242] 글렌 멜랑콩(Glenn Melancon) 교수는 전쟁의 주요 원인이 아편이 아니라 영국의 명예, 존엄성, 그리고 세계 자유 무역에 대한 약속을 지켜야 할 필요성이었다고 주장한다.[243]
반면, 존 퀸시 애덤스 전 미국 대통령은 아편은 "단순한 사건일 뿐"이며, 전쟁의 원인은 중국이 다른 국가들과 평등한 관계를 거부하고 종속적인 관계를 주장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244]
호주 역사가 해리 G. 겔버(Harry G. Gelber)는 아편이 미국 독립 전쟁의 발단이 된 보스턴 차 사건의 차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영국이 전쟁을 벌인 이유는 중국의 군사적 위협, 외교적 평등 거부, 그리고 더 많은 항구 개방 거부 때문이라고 말한다.[245]
중국 역사학자 레이 황(Ray Huang)은 아편 전쟁을 경제적 요인이나 외교적 긴장뿐만 아니라 청나라 내부의 구조적 문제와 연관 지어 설명한다. 그는 경제적 압박, 관료적 비효율성, 사회적 불안 등이 청나라의 대응 능력을 약화시켰다고 강조한다.
이처럼 아편 전쟁의 성격에 대한 논쟁은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경제 체제, 국제 관계, 제국주의, 그리고 역사적 관점의 차이 등 복합적인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6. 2. 임칙서에 대한 평가

임칙서는 흔히 도덕적 청렴함으로 인해 "청천 임(林則徐)"이라고 불렸다.[231] 그는 아편 수입과 사용을 막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강경 정책과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이길 수 없는 전쟁을 일으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중국이 형성됨에 따라 임칙서는 영웅으로 여겨졌으며 중국 전역의 여러 곳에서 불멸화되었다.[233][234][235]
임칙서는 아편을 취급하는 상인으로부터의 뇌물에도 응하지 않고, 현지의 총독, 순무(巡撫) 및 군 간부들과 협력하여 아편 밀수에 대한 매우 엄격한 단속을 실시했다.[290][291] 이러한 그의 강경 정책은 결국 제1차 아편 전쟁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20세기 이후 중국에서 임칙서는 아편에 맞서 싸운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그를 "제국주의와 봉건주의에 대한 부르주아 민주 혁명의 시작"을 알린 인물로 평가하기도 한다.[229]
6. 3. 전쟁의 불가피성 논쟁
조나단 D. 스펜스는 전쟁으로 이어진 요인으로 청 왕조의 사회적 혼란, 아편 중독의 확산, 외국인에 대한 강경 정서, 외국인의 중국 법 거부, 국제 무역 구조 변화, 서구 지식인들의 중국 찬사 종식 등을 열거했다.[79] 1839년, 도광제는 린쩌슈(林則徐)를 황제 특사로 임명하여 아편 무역 근절을 시도했다.[80] 린쩌슈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아편의 해악을 알리고자 "빅토리아 여왕에게 보낸 편지"를 보냈으나, 이 편지는 여왕에게 전달되지 않았다.[9][81]영국은 1838년까지 연간 약 1400long ton의 아편을 중국에 판매했고,[78] 중국 정부는 아편 밀매업자들에게 사형을 선고하기 시작했다.[78] 린쩌슈는 아편 판매 금지, 아편 몰수, 주장 봉쇄 등을 통해 영국 상인들을 압박했다.[31]
찰스 엘리엇은 아편 압수에 항의하며 영국 상인들에게 아편을 넘겨주도록 설득하고, 영국 정부가 손실을 보상하겠다고 약속했다.[31] 이는 영국 정부의 아편 무역 묵인과 막대한 재정 부담을 야기했고, 이후 영국의 공격 명분(''casus belli'')으로 사용되었다.[85] 1839년 4월과 5월, 영국과 미국 상인들은 20,283상자와 200포대의 아편을 넘겼고, 이는 광저우 외곽 해변에서 공개적으로 파괴되었다.[82]
린쩌슈는 외국 상인과 청나라 관리들이 아편 거래를 하지 않겠다는 보증서에 서명할 것을 요구했다.[87] 영국 정부는 자유 무역 원칙 위반을 이유로 반대했지만, 일부 상인들은 엘리엇의 명령에 반하여 서명했다.[88]
중국이 아편 무역을 단속하자 영국 내에서는 대응 논의가 시작되었다. 휘그당 지지 언론은 중국의 "전제정치와 잔혹함"을 비난하며 전쟁을 주장했다.[107] 1840년 1월 16일 여왕의 상원 연설에서는 중국과의 통상 중단에 대한 우려가 표명되었다.[108]
제임스 그레이엄은 1840년 4월 7일 하원에서 정부의 "예측 부족과 예방 조치의 부재"를 비난하는 결의안을 제출했지만, 9표 차이로 부결되었다.[109][111] 하원은 1840년 7월 27일에 중국 원정 경비 지원 결의안을 승인했다.[111][107]
팔머스턴 외무장관은 파괴된 아편을 재산으로 간주하여 배상을 요구하며 군사 행동을 정당화했다.[106] 그는 윌리엄 멜버른 총리에게 군사적 대응을 촉구하는 서한을 작성했다.[106] 윌리엄 에워트 글래드스톤 등은 아편 무역의 윤리성을 비난하며 반전 진영을 이끌었다.[111][107]
휘그당 내각은 1839년 10월 1일 중국에 원정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112] 1840년 2월 20일, 팔머스턴은 엘리엇과 도광제에게 편지를 보내 영국의 군사 원정대 파견을 알리고, 중국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을 제시했다.[113][114]
역사가들은 전쟁의 불가피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다. 재스퍼 리들리(Jasper Ridley)는 부패한 청나라와 경제적으로 발전한 영국 간의 갈등이 불가피했다고 주장했지만, 영국 내 반대도 격렬했다고 덧붙였다.[238][239][240] 존 케네스 페어뱅크(John K. Fairbank)는 서구의 확장과 중국의 관성이 충돌하여 어떤 형태로든 전쟁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보았다.[241]
일부 역사가들은 팔머스턴 경이 자유 무역 원칙을 유지하기 위해 전쟁을 시작했다고 주장한다.[242] 글렌 멜랑콩(Glenn Melancon) 교수는 전쟁의 원인이 아편이 아니라 영국의 명예와 자유 무역에 대한 약속이었다고 주장한다.[243] 존 퀸시 애덤스(John Quincy Adams)는 전쟁의 원인이 중국의 거만한 태도라고 말했다.[244]
레이 황(Ray Huang)은 갈등의 원인을 경제적 요인이나 외교적 긴장뿐만 아니라 청나라 내부의 구조적 문제에서 찾는다.[267] 해리 G. 겔버(Harry G. Gelber)는 영국이 중국의 군사적 위협, 외교적 평등 거부, 무역 개방 거부 때문에 전쟁을 벌였다고 주장한다.[245]
제임스 폴라체크(James Polachek)는 아편 무역 억압 시도가 내부 파벌주의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청나라가 영국의 군사적 개입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266]
참조
[1]
서적
China: Political, Commercial, and Social; In an Official Report to Her Majesty's Government
https://archive.org/[...]
James Madden
[2]
서적
unnamed
[3]
간행물
The Chinese Repository
[4]
서적
unnamed
[5]
서적
The Life and Campaigns of Hugh, First Viscount Gough, Field-Marshal
https://archive.org/[...]
[6]
서적
China: The World's Oldest Living Civilization Revealed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7]
웹사이트
第一次鸦片战争中、英军队的伤亡及其影响
http://cdmd.cnki.com[...]
2014-12-19
[8]
서적
unnamed
[9]
서적
unnamed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digital china/harvard: Letter of Advice to Queen Victoria
https://cyber.harvar[...]
2022-11-23
[11]
웹사이트
Longman World History
https://wps.pearsonc[...]
2022-11-23
[12]
백과사전
Opium Wars
https://www.britanni[...]
2021-11-28
[13]
서적
Smuggling as Subversion: Colonialism, Indian Merchants, and the Politics of Opium, 1790–1843
Lexington
2005-03
[14]
서적
A modern history of Hong Kong
[15]
서적
A modern history of Hong Kong
[16]
웹사이트
The Mechanics of Opium Wars
https://australian.m[...]
2022-06-28
[17]
간행물
La Nao de la China
[18]
서적
Revolution and Rebellion in the Early Modern World: Population Change and State Breakdown in England, France, Turkey, and China, 1600–18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
서적
unnamed
[20]
서적
unnamed
[21]
서적
A splendid exchange: how trade shaped the world
Atlantic Monthly Press
[22]
서적
The Canton trade: life and enterprise on the China coast, 1700–1845
Hong Kong University Press
[23]
간행물
Governmental Organization of the Ming Dynasty
Harvard-Yenching Institute
[24]
서적
The Immobile Empire — The first great collision of East and West — the astonishing history of Britain's grand, an ill-fated expedition to open China to Western Trade, 1792–94
Alfred A. Knopf
[25]
서적
unnamed
[26]
서적
unnamed
[27]
서적
unnamed
[28]
웹사이트
Early American Trade
https://www.bbc.co.u[...]
[29]
서적
unnamed
[30]
서적
The Opium Wars
https://archive.org/[...]
Sourcebooks
[31]
웹사이트
China: The First Opium War
http://web.jjay.cuny[...]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10-12-02
[32]
서적
unnamed
[33]
서적
unnamed
[34]
서적
unnamed
[35]
서적
unnamed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웹사이트
The Opium Wars in China
https://asiapacificc[...]
Asia Pacific Foundation of Canada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The Immobile Empire
https://books.google[...]
Vintage
[43]
서적
[44]
웹사이트
Early American Trade with China
http://teachingresou[...]
2017-08-08
[45]
학술지
Cargo Manifests and Custom Records from American China Trade Vessels Bound for the Port of Philadelphia 1790–1840
https://scholarsarch[...]
2018-09-23
[46]
서적
[47]
서적
A Documentary Chronicle of Sino-Western relations, Volume 1
[48]
서적
The Opium War : drugs, dreams and the making of China
[49]
웹사이트
Exploitation, brutality and misery: how the opium trade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theconversat[...]
2024-05-06
[50]
웹사이트
The Opium Trade—Observations
https://hansard.parl[...]
1880-06-04
[51]
학술지
India in the Rise of Britain and Europe: A Contribution to the Convergence and Great Divergence Debates
https://doi.org/10.1[...]
2021-01-00
[52]
서적
Report from the Select Committee on the Royal Mint: together with the minutes of evidence, appendix and index, Volume 2
https://books.google[...]
Great Britain. Committee on Royal Mint
[53]
서적
Global Standards of Market Civilization
Taylor & Francis
[54]
서적
A Brief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Cengage
[55]
서적
World Book Publishing Company
[56]
웹사이트
Grandeur of the Qing Economy
http://www.learn.col[...]
2017-05-24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China's last empire : the great Qing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61]
웹사이트
Developing China with sovereign credit
https://web.archive.[...]
2008-09-04
[62]
서적
History of Modern China
Chinese University Press
[63]
웹사이트
The Opium Wars in China
https://asiapacificc[...]
2021-11-28
[64]
학술지
The Expedition to Garrison Portuguese Macao with British Troops: Temporary Occupation and Re-embarkation, 1808
2013-12-01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China Trade and Empire: Jardine, Matheson & Co. and the Origins of British Rule in Hong Kong, 1827–1843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History of the Opium Problem: The Assault on the East, ca. 1600–1950
https://books.google[...]
Brill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웹사이트
The First Opium War (1838–1842)
https://web.archive.[...]
[75]
서적
The Clash of Empires: the invention of China in modern world maki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76]
웹사이트
The Englishman in China During the Victorian Era: As Illustrated in the Career of Sir Rutherford Alcock, Volume 1
HardPress
[77]
웹사이트
The Napier Affair (1834)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Modern History,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78]
서적
[79]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80]
웹사이트
England and China: The Opium Wars, 1839–60
http://www.victorian[...]
[81]
웹사이트
Commissioner Lin: Letter to Queen Victoria, 1839
http://www.fordham.e[...]
[82]
서적
Modernization and revolution in China: from the opium wars to the Olympics
Sharpe
[83]
뉴스
Why the Chinese military is still haunted by this 19th-century 'humiliation'
https://web.archive.[...]
2016-08-06
[84]
서적
Report from the select committee on the trade with China: together with the minutes of evidence ... Ordered ... to be printed 5 June 1840
https://books.google[...]
[85]
서적
Foreign Mud: The opium imbroglio at Canton in the 1830s and the Anglo-Chinese War
W.W. Norton
[86]
서적
[87]
웹사이트
Millennium
https://archive.org/[...]
Transworld
[88]
웹사이트
Doing Business with China: Early American Trading Houses
https://www.library.[...]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Correspondence Relating to China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Correspondence Relating to China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Correspondence Relating to China
[99]
서적
Correspondence Relating to China
[100]
서적
[101]
웹사이트
The Battle of Kowloon – Fighting – Gallery Empires
https://web.archive.[...]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Routledge
[106]
서적
Britain's China Policy and the Opium Crisis: Balancing Drugs, Violence and National Honour, 1833–1840
https://books.google[...]
Ashgate
[107]
서적
Chinese Law in Imperial Eyes: Sovereignty, Justice, and Transcultural Politic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08]
서적
Captain Elliot and the Founding of Hong Kong: Pearl of the Orient
https://books.google[...]
Grub Street
[109]
서적
Captain Elliot
https://books.google[...]
Grub Street
[110]
서적
[111]
웹사이트
Justifiers of the British Opium Trade: Arguments by Parliament, Traders, and the Times Leading Up to the Opium War
https://web.stanford[...]
2018-09-23
[112]
서적
Deterrence Through Strength: British Naval Power and Foreign Policy Under Pax Britannica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113]
웹사이트
Palmerston to Emperor – Feb, 1840 China's external relations – a history
http://www.chinafore[...]
2017-07-20
[114]
웹사이트
Palmerston to Elliots – Feb, 1840 China's external relations – a history
http://www.chinafore[...]
2017-07-20
[115]
서적
Britain's China Policy and the Opium Crisis: Balancing Drugs, Violence and National Honour, 1833–1840
https://books.google[...]
Ashgate
[116]
논문
Bannerman and Townsman: Ethnic Tension in Nineteenth-Century Jiangnan
http://scholar.harva[...]
1990-06
[117]
논문
The Sino-Indian Border Disputes
1960-01
[118]
간행물
No. 19989
https://www.thegazet[...]
1841-06-18
[119]
논문
The British Foreign Office and Policy Formation: The 1840s
[120]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Imperialism, Colonialism, Colonies
http://www.britishem[...]
2017-05-26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간행물
1840-12-15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기타
cite ECCP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The Qing Empire and the Opium War: the collapse of the Heavenly Dynas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Bulletins of State Intelligence
[135]
서적
Bulletins of State Intelligence
[136]
서적
[137]
서적
(title missing)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The Opium War: Drugs, Dreams, and the Making of Modern China
The Overlook Press
[147]
서적
[148]
서적
Bulletins and Other State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Frontier and Overseas Expeditions From India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A modern history of Hong Kong
I. B. Tauris
[161]
서적
Reports from Formosa
E. P. Dutton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Imperialism, Colonialism, Colonies
http://www.britishem[...]
2017-05-30
[167]
서적
[168]
서적
Bulletins of State Intelligence
[169]
서적
[170]
웹아카이브
Tibetan Expeditionary Force participating in the Opium War
http://www.tibet.cn/[...]
[171]
서적
Bulletins
[172]
서적
[173]
서적
Bulletins of State Intelligence
[174]
서적
[175]
서적
War: The Definitive Vis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176]
간행물
Bulletins of State Intelligence
1842
[177]
서적
1903
[178]
서적
The Closing Events of the Campaign in China: The Operations in the Yang-tze-kiang and treaty of Nanking
https://archive.org/[...]
London
1843
[179]
서적
1903
[180]
서적
History of Modern Chinese War
Military Science Press
[181]
서적
The Jazz "History of the Chinese Empire" (Chinese translation)
[182]
서적
Part 5 "Diary of the Grass"
Shanghai Bookstore
2000
[183]
서적
2008
[184]
서적
1959
[185]
웹사이트
Treaty Chinese humiliating first – the signing of the "Nanjing Treaty"
http://www.tqxz.com/[...]
2008-08-31
[186]
서적
Opium War
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2000
[187]
서적
[188]
웹사이트
After the Opium War: Treaty Ports and Compradors
https://www.library.[...]
2017-05-26
[189]
웹사이트
The Nemesis – Great Britain's Secret Weapon in the Opium Wars, 1839–60
http://www.victorian[...]
2017-05-30
[190]
웹사이트
Warfare technology in the Opium War
https://opiumwarexhi[...]
2017-05-30
[191]
서적
India's Army
Low, Marston
1940
[192]
논문
An Analysis of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East Asia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China and Japan after the Opium Wars
The Korean Association of Philippine Studies
2009
[193]
웹사이트
Welcome to Zhenhai coast defence history museum
http://www.zhkhfsg.c[...]
2017-05-30
[194]
서적
[195]
웹사이트
An Indefensible Defense:The Incompetence of Qing Dynasty Officials in the Opium Wars, and the Consequences of Defeat
http://history.emory[...]
[196]
서적
[197]
간행물
Bulletins of State Intelligence
1841
[198]
서적
Zheng He: China and the Ocean in the Early Ming Dynasty, 1405–1433
Pearson
2007
[199]
서적
The Blue Frontier: Maritime Vision and Power in the Qing Empire Cambridge Oceanic Hist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200]
서적
1843
[201]
서적
1843
[202]
서적
Sino Portuguese Trade from 1514 to 1644
1934
[203]
서적
2013
[204]
서적
The Qing Empire and the Opium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05]
서적
The Qing Empire and the Opium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06]
서적
1903
[207]
비디오
The Story of China; Age of Revolution
https://www.pbs.org/[...]
PBS.org
2017-11-07
[208]
서적
The Qing Empire and the Opium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09]
서적
The Gunpowder Age: China, Military Innovation, and the Rise of the West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210]
웹사이트
The life and campaigns of Hugh, first Viscount Gough, Field-Marshal
https://archive.org/[...]
Westminster, A. Constable & Co.
2016-06-03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https://books.google[...]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The Qing Empire and the Opium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7]
서적
Treaty of peace, amity, and commerce,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Chinese Empire
https://catalog.loc.[...]
s.n
1846-07-21
[218]
서적
The Whites are Enemies of Heaven: Climate Caucasianism and Asian Ecological Protection
Duke University Press
[219]
서적
The Taiwan Question in Xi Jinping's Era: Beijing's Evolving Taiwan Policy and Taiwan's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Routledge
[220]
서적
Crusaders Against Opium: Protestant Missionaries in China, 1874–1917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21]
서적
Opium: Uncovering the Politics of the Popp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22]
서적
William Gladstone: New Studie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shgate
[223]
서적
The Making of Addiction: The 'Use and Abuse' of Opium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https://books.google[...]
Ashgate
[224]
서적
Opium Wars: The Addiction of One Empire and the Corruption of Another
https://books.google[...]
Sourcebooks
[225]
서적
[226]
웹사이트
Isle of Wight Catholic History Society
https://iow-chs.org/[...]
[227]
서적
Gladstone and Women
https://books.google[...]
A&C Black
[228]
서적
William Ewart Gladstone: Faith and Politics in Victorian Britain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229]
서적
The History of Modern China
Beijing
[230]
논문
The Opium Wars: Opium Legalization and Opium Consumption in Chin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31]
백과사전
Lin Zexu
https://web.archive.[...]
2016-06-03
[232]
웹사이트
Pioneers of Modern China: Understanding the Inscrutable Chinese: Chapter 1: Fujian Rén & Lin Ze Xu: The Fuzhou Hero Who Destroyed Opium
http://www.eastasian[...]
2016-06-03
[233]
웹사이트
Monument to the People's Heroes
https://web.archive.[...]
2016-06-03
[234]
웹사이트
Lin Zexu Memorial
https://web.archive.[...]
2016-06-03
[235]
웹사이트
Lin Zexu Memorial Museum Ola Macau Travel Guide
https://web.archive.[...]
2016-06-03
[236]
뉴스
A Rising China Needs a New National Story
https://www.wsj.com/[...]
2013-07-12
[237]
서적
The Opium War Through Chinese Eyes
Allen and Unwin
[238]
서적
Lord Palmerston
[239]
서적
[240]
간행물
Canton, 1857
[241]
서적
A History of East Asian Civilization: Volume Two: East Asia the Modern transformation
[242]
서적
Lord Palmerston
[243]
간행물
Honor in Opium? The British Declaration of War on China, 1839–1840
[244]
서적
The Opium War: Drugs, Dreams, and the Making of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Abrams
[245]
논문
China as 'Victim'? The Opium War That Wasn't
https://ces.fas.harv[...]
Harvard University Center for European Studies, Working Paper Series #136
[246]
서적
The Sextants of Beijing: Global Currents in Chinese History
W. W. Norton
[247]
서적
State, Economy and the Great Divergence: Great Britain and China, 1680s–1850s
Bloomsbury
[248]
서적
British Trade and the Opening of China 1800-184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9]
서적
Opium Regimes: China, Britain, and Japan, 1839–195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0]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1]
학술지
Some Research Notes on Carl A. Trocki's Publication "Opium, Empire and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252]
서적
Opium and Empire: Chinese Society in Colonial Singapore, 1800–1910
Cornell University Press
[253]
서적
The Imperial Cruise, a Secret History of Empire and War
https://archive.org/[...]
Little & Brown
[254]
논문
Conceptualizing the Blue Frontier: The Great Qing and the Maritime World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http://archiv.ub.uni[...]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2013-06-28
[255]
서적
The Sextants of Beijing: Global Currents in Chinese History
W. W. Norton
[256]
서적
The Sextants of Beijing: Global Currents in Chinese History
W. W. Norton
[257]
서적
Size and dynastic decline. The principal-agent problem in late imperial China, 1700–1850
http://apebhconferen[...]
[258]
논문
Palmerston, Parliament and Peking: The Melbourne Ministry and the Opium Crisis, 1835–1840
[259]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260]
서적
British Trade and the Opening of China, 1800–1842
[261]
서적
British Imperialism: Innovation and Expansion 1688–1914
[262]
서적
Lord Palmerston
[263]
학술지
Honour in Opium? The British Declaration of War on China, 1839–1840.
https://www.jstor.or[...]
[264]
서적
Britain's China Policy and the Opium Crisis: Balancing Drugs, Violence and National Honour, 1833–1840
[265]
서적
Discovering History in China: American Writing on the Recent Chinese Past
[266]
서적
The Inner Opium Wa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67]
서적
The Inner Opium Wa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68]
서적
China: Political, Commercial, and Social; In an Official Report to Her Majesty's Government
James Madden
[269]
뉴스
19世紀後半、黒船、地震、台風、疫病などの災禍をくぐり抜け、明治維新に向かう(福和伸夫)
https://news.yahoo.c[...]
2020-08-24
[270]
웹사이트
大清帝国の没落…意外に知らない「アヘン戦争」が起こったワケ
https://diamond.jp/a[...]
2021-06-27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275]
서적
[276]
서적
近代の誕生 第III巻
[277]
서적
近代の誕生 第III巻
[278]
서적
貝と羊の中国人
[279]
서적
近代の誕生 第III巻
[280]
서적
[281]
서적
[282]
서적
[283]
서적
[284]
서적
[285]
서적
[286]
서적
[287]
서적
[288]
서적
[289]
서적
[290]
서적
[291]
서적
[292]
서적
[293]
서적
[294]
서적
[295]
서적
[296]
서적
[297]
서적
[298]
서적
[299]
서적
[300]
서적
[301]
서적
[302]
서적
[303]
서적
[304]
서적
[305]
서적
[306]
서적
[307]
서적
[308]
서적
[309]
서적
[310]
서적
[311]
서적
[312]
서적
[313]
서적
[314]
서적
[315]
서적
[316]
서적
[317]
서적
[318]
서적
[319]
서적
[320]
서적
[321]
서적
[322]
서적
[323]
뉴스
世界史の遺風(91)ディズレーリ 「帝国主義者」の社会改革
https://web.archive.[...]
2014-08-21
[324]
서적
[325]
서적
[326]
서적
[327]
서적
[328]
서적
[329]
서적
[330]
서적
[331]
서적
[332]
서적
[333]
서적
[334]
서적
[335]
서적
[336]
서적
[337]
서적
[338]
웹사이트
https://catalog.digi[...]
[339]
서적
[340]
서적
[341]
서적
[342]
서적
[343]
서적
[344]
서적
[345]
웹사이트
林则徐晚年赞同内地种植、生产鸦片以抵制“洋土”_历史_凤凰网
https://news.ifeng.c[...]
2021-08-20
[346]
간행물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1991年10月17日号)
TBSブリタニカ
1991-10-17
[347]
서적
[348]
서적
[349]
뉴스
【社説】韓国人の死刑執行6日後に通知した中国の欠礼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7-05-01
[350]
백과사전
세계대백과사전
평범사
[351]
웹사이트
海国図志. 巻首,1-100
https://www.wul.wase[...]
[352]
웹사이트
鴉片始末
https://www.wul.wase[...]
[353]
서적
軍国日本の興亡: 日清戦争から日中戦争へ
中央公論社
1995
[354]
기타
[355]
서적
清聖祖實錄
[356]
간행물
財經問題研究
대련
2012-11
[357]
기타
서중약 1954
[358]
서적
中國近代史
中華書局
1977-07
[359]
서적
近代の誕生 第Ⅲ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